임상교실 - 교수진 소개

한창수 교수

한창수 교수

한창수 / ChangSu Han

  • 소속정신건강의학교실
  • 직위주임교수
  • 세부전공우울증, 치매, 울분
  • 연구실위치
  • 구내전화번호구3131
  • 팩스
  • 이메일hancs@korea.ac.kr
학력사항
1987년 3월 ~ 1993년 2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1994년 9월 ~ 1996년 8월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학석사 졸업 (정신의학)
1996년 9월 ~ 2001년 2월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졸업 (정신약물유전학)
2007년 8월 ~ 2009년 4월 미국 Duke대학교 의과대학 보건과학 석사 (MHS in Clinical Research)
교육 및 경력사항
1994년 3월 ~ 1998년 2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수료
1998년 4월 ~ 2001년 4월 대한민국 육군 대위 (군의관)
2001년 5월 ~ 2003년 2월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강사
2003년 3월 ~ 2006년 2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조교수
2005년 3월 ~ 2007년 2월 고려대학교 의사법학연구소장
2007년 3월 ~ 2009년 2월 미국 듀크대학교 의과대학 노인정신의학과 연구펠로우
2007년 3월 ~ 2012년 2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부교수
2012년 3월 ~ 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교수
2009년 3월 ~ 2016년 2월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
2011년 3월 ~ 2013년 2월 고려대학교 의료법학연구소장
2015년 3월 ~ 2016년 1월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교육수련부장
2016년 1월 ~ 2017년12월 의과대학 홍보부학장
2019년 1월 ~ 2019년12월 고려대학교 의료원 기금사업본부장
2018년 1월 ~ 2021년10월 고려대학교 의료원 대외협력실장
2018년 1월 ~ 2018년 11월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장
2021년 3월 ~ 2023년 2월 고려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소장
2021년12월 ~ 2021년 4월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건강증진센터장
학술활동
2006년 8월 ~ 2006년 10월 WPA(World Psychiatric Ass) World Congress, Seoul Organizing Secretary
2013년 5월 ~ 현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문위원(정신건강분야)
2016년 1월 ~ 2017년 12월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홍보기획이사
2018년 10월 ~ 2020년 9월 대한노인정신의학회 학술이사
2020년 10월 ~ 현재 대한노인정신의학회 교육이사
2012년 10월 ~ 2014년 9월 대한노인정신의학회 총무이사
2012년 3월 ~ 2014년 2월 대한정신약물학회 교육이사
2014년 3월 ~ 2016년 3월 대한정신약물학회 학술이사
2016년 3월 ~ 현재 대한정신약물학회 연구 및 윤리이사
2016년 8월 ~ 현재 Pacific Rim College of Psychiatrists(환태평양 정신의학회), Distinguished Fellow
2010년 1월 ~ 현재 건강검진 질관리 자문위원, 질병관리센터
대표논문
Publication list.
https://www.ncbi.nlm.nih.gov/sites/myncbi/1R1C_muzThv/bibliography/40709224/public/?sort=date&direction=descending?

Google Scholar Profile.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hl=ko&user=jlTtCgwAAAAJ&view_op=list_works&sortby=pubdate

[주요 논문]

중등도 운동이 남성에서 우울증 개선효과를 보인다.
Kim HW, Shin C, Han KM, Han C.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suicidal ideation differs by gender and activity level. J Affect Disord. 2019; 5;257:116-122

자살의도를 제외한 우울증상측정 PHQ-8 한글표준화
Shin C, Lee SH, Han KM, Yoon HK, Han C. Comparison of the Usefulness of the PHQ-8 and PHQ-9 for Screening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Analysis of Psychiatric Outpatient Data. Psychiatry Investig. 2019; 16(4):300-305

노인우울증의 예비 바이오마커 CXCL1/GRO chemokine 연구
Fanelli G, Benedetti F, Wang SM, Lee SJ, Jun TY, Masand PS, Patkar AA, Han C, Serretti A, Pae CU, Fabbri C. Reduced CXCL1/GRO chemokine plasma levels are a possible biomarker of elderly depression. J Affect Disord. 2019; 15;249:410-417

노인의 악력은 우울증과 상관한다
Han KM, Chang J, Yoon HK, Ko YH, Ham BJ, Kim YK, Han C. Relationships between hand-grip strength,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ve symptom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 Affect Disord. 2019; 9;252:263-270

배우자 폭력과 우울증
Han KM, Jee HJ, An H, Shin C, Yoon HK, Ko YH, Ham BJ, Kim YK, Han C.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incidence of depression in married women: A longitudinal study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J Affect Disord. 2019; 15;245:305-311.

노인우울증의 예비 바이오마커 complement factor H 연구
Shin C, Ham BJ, Ko YH, Pae CU, Park MH, Steffens DC, Patkar AA, Han C. Increased plasma complement factor H is associ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Int Psychogeriatr. 2019; 31(1):101-108

유전체칩을 이용한 항우울제선택의 유용성 - 임상시험 연구
Han C, Wang SM, Bahk WM, Lee SJ, Patkar AA, Masand PS, Mandelli L, Pae CU, Serretti A. A Pharmacogenomic-based Antidepressant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s from an 8-week, Randomized, Single-blinded Clinical Trial. Clin Psychopharmacol Neurosci. 2018 Nov 30;16(4):469-480

한국 직장인에서 결근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Sickness absence indicating depressive symptoms of working popul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7; 227:443-449.

한국인 우울증의 유병율: 국가건강영양조사 2014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in General Population of Korea: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7; 32(11):1861-1869.

지역사회 노인의 자살사고 감소에 대한 인구분획요인(PAF) 조사연구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Elderly: Risk Factors and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s.
Psychiatry. 2016; 79(3):262-281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증상이 우울증상 심각도와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number and severity of somatic symptoms on the severity of depression and suicidality in community-dwelling elders. Asia-Pacific psychiatry : official journal of the Pacific Rim College of Psychiatrists. 2014; 6(3):274-83.

자살과 수면 진정제의 관련성 연구
Association of sedative-hypnotic medications with suicidality. Expert review of neurotherapeutics. 2011; 11(3):345-9.

경도인지장애의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저하: 1년 추적연구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 1-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017; 30(5):280-288.

통증과 우울증 Pain and depression: a neurobiological perspective of their relationship.
Psychiatry investigation. 2015; 12(1):1-8.

잔류증상을 지닌 만성 우울증의 치료 Management of chronic depressive patients with residual symptoms. CNS drugs. 2013; 27 Suppl 1:S53-7.

한국형 울분장애 척도 개발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self-rating scale.
Psychiatry investigation. 2012; 9(4):368-72.

신경성 신체증상 척도개발연구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PHQ-15) for measuring the somatic symptoms of psychiatric outpatients. Psychosomatics. 2009; 50(6):580-5.

PHQ-9 우울증 척도 한글판 개발연구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ehensive psychiatry. 2008; 49(2):218-23.

Usefulness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in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7; 22(3):218-23.
연구(실) 소개
o 주요 전공: 우울증 및 울분(스트레스), 치매
(지역사회 우울증 관리 및 정신증상 평가, 디지털 정신생리측정)
o 국가건강영양조사 및 국가검진 우울증 평가도구(PHQ-9) 한글판 개발자로서 자문위원 활동 중
o 2016-2018 보건복지부 국가건강임상연구 전향적 우울증 치료 임상연구 수행.
o 2017-2018다국적제약사 Janssen과 자살시도자 대상의 자살충동 억제제 에스케타민제제 미국 FDA허가용 국제3상 임상연구 수행
o 2021-2022 임상시험의 디지털화 용역과제: 항우울 치료 및 부작용의 실시간 평가를 위한 EsCare(Esketamine Continuing Assessment for Relapse Prevention) Program 개발 용역과제 수행중
o 2021-2024산업자원부 디지털 밸류체인과제(디지털 마커 표준화 사업) 연구과제 수행
기타사항(특허, 저서, fellowship, Awards 등)
[상훈]
2010년 11월 고려대학교 의료원 학술상
2010년 10월 대한정신약물학회 오츠카 학술상
2014년 4월 대한신경정신의학회 GSK 학술상

[저서]
무기력이 무기력해지도록 한창수, RHK, 2021
무조건 당신편- 외상후 성장의 심리학
한창수, RHK, 2020 ISBN 9788925556390(8925556391)

성호르몬과 우울증 Sex Hormones & Reproductive Depression.
조숙행, 함병주, 한창수, 고영훈, 이문수, 정현강
학지사, 2017 ISBN 978-89-997-1337-8 93510

한손에 잡히는 임상연구: 설계와 실행의 모든것, 제4판
임상연구리뷰회(CRRG)
군자출판사 2015 ISBN 978-89-6278-985-0

울분장애 Embitterment. Societal, psychological, and clinical perspectives, Springer (공저) ISBN-10: 370911728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