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교실 - 의학통계학교실

교육이념

1. 의학통계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해서 연구 설계부터 결과 제시까지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의과학자 양성

2. 의학통계학 이론을 바탕으로 스스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연구역량을 갖춘 의학통계학자 양성

3. 연구 설계 자문, 자료관리 수행, 통계분석 실시 및 연구결과 정리와 발표까지 의과학 연구 전반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 의학통계 상담인 양성

교실 소개

자연현상 및 사회현상은 일정한 규칙을 적용해 수(number)로 표현될 수 있으며, 특정 목적 하에서 관찰되는 수를 자료(data)라 한다. 자료에는 현상에 내재된 법칙에 관한 일관성(consistency)과 이와 관련된 불규칙성이 반영된 확률성(randomness)이 복합적으로 개입되게 된다. 통계학은 이들 두 특성을 과학적인 방법론을 통해 분리해서 자료가 보여주는 일관된 규칙을 발견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특별히 인간을 대상으로 얻어지는 자료는 그 복잡성으로 인해 해석이 훨씬 어렵게 된다.

의학통계학은 의학 및 보건학 등에서 얻어지는 자료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통계적 이론을 개발하는 학문이다. 즉, 의학통계학은 의학, 보건학 등과 통계학 간의 전문성이 적절히 결합된 현대적인 학술적 요구의 산물이다. 의학통계학은 통계적 전문성을 기반으로 자체적인 이론 개발, 의학 자료의 특성 탐구, 의과학 연구의 방법론적 기틀을 제공하는 학문이다. 의과학 연구에서 의학통계학의 역할 및 비중은 점점 증가하여, 이미 의학통계적으로 객관적인 근거가 제시되지 않는 의과학 연구는 과학적이지 않은 연구로 간주될 만큼 의학통계학은 학문 그 자체로서의 위상도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학교실은 이러한 전문적,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2006년에 설립되었다. 의학통계학교실은 2명의 전임교원, 1명의 연구교수, 3명의 연구조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학통계학협동과정 석사 및 박사 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고려대학교 의료원 소속 연구자들의 연구를 돕기 위해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지원센터 산하 안암, 구로 및 안산 병원 의학통계상담실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교실 연혁

2002. 03. 이준영 교수 예방의학교실 부임

2006. 03. 의과대학 의학통계학교실 창설 (인공장기센터 건물)

2006. 04. 이준영 교수, 제1대 주임교수 발령

2006. 08. 안암병원 및 구로병원 의학통계상담실 개소

2006. 09. 안산병원 의학통계상담실 개소

2007. 03. 안형진 교수 의학통계학교실 부임

2007. 03. 김희영, 박만식 연구교수 위촉, 유수정 행정조교 발령

2007. 10. 제1회 [의과학 연구자를 위한 의학통계 교육과정] 워크샵 개최

2008. 03. 의학통계학협동과정 (석사과정) 신설

2008. 03. 이준영 교수, 의학통계학협동과정 주임교수 발령

2008. 03. 양경숙 연구교수 위촉

2008. 09. 제2회 [의과학 연구자를 위한 의학통계 교육과정] 워크샵 개최

2009. 03. 최정순 연구교수 위촉

2009. 12. 권순선 연구교수 위촉

2010. 02. 황순영 연구교수 위촉

2010. 09. 제3회 [의과학 연구자를 위한 의학통계 교육과정] 워크샵 개최

2010. 11. 제1회 [임상시험 시 통계적 고려사항 교육과정] 워크샵 개최

2011. 03. 이지성 연구교수 위촉

2011. 08. 안형진 교수, 의학통계학협동과정 주임교수 발령

2011. 10. 제4회 [의과학 연구자를 위한 의학통계 교육과정] 워크샵 개최

2012. 03. 안암/구로/안산병원 의학통계상담실 의과학연구지원센터로 소속 이관

2012. 03. 이종찬 연구교수 위촉

2012. 09. 의학통계학교실 이전 (의과대학 의학관 3층 3601호~3603호)

2013. 07. 의학통계학교실 이전 (의과대학 본관 6층 658호~661호)

2015. 04. 김성은 연구교수 위촉 

 

연구 동향

[연구 관심 분야]

- Bayesian Statistics

- Causal Inference

- Clinical Trial Methodology

- Clinical Data Management

- Longitudinal Data Analysis

- Missing Data Analysis

- Skewed Data Analysis

- Statistical Modeling in Medical Fields

 

주요 연구 업적

본 교실 전임교원들은 최근 3년간 (2012-2014) SCI급 국제 논문 35편을 출판하는 등 연구 활동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또한 국가 기관 및 산업계의 연구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하고 있다.

 

본 교실에서 최근 3년간 진행해온 주요 연구 프로젝트로는 글로벌임상시험센터 (임상시험글로벌사업단), 뇌졸중임상연구센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민 방사선량 평가 (식품의약품안전처), 표본코호트DB 구축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정보DB 구축 (국민건강보험공단), 치매연구 통계지원 구축 및 분석방법 개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인플루엔자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베이지안 기법을 적용한 임상시험 사례 및 모의시험 

분석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잠재원인변수를 인용한 인과관계 추론방법 개발 (한국연구재단), 정기통계품질진단 (통계청) 연구 등이 있다.

 

또한 본 교실 전임교원들은 다양한 임상 분야의 다국가 및 다기관 임상시험에서 주 통계학자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참여하고 있는 2상, 3상 및 4상 임상시험의 수는 20여개이다.